복수는 복강 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복강액이 증가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정상적인 상태에서도 몇십 mL 정도의 복강액은 유지되지만, 복수는 이 용량이 훨씬 늘어나거나 이물질이 포함된 상태를 나타냅니다. 간경변증, 악성 종양, 결핵성 복막염, 신장 질환, 심장 질환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정확한 원인과 감염 여부를 파악하는 것은 환자의 진단 및 치료에 있어 중요한 과정 중 하나입니다. 특히, 복수검사는 복수의 원인을 감별하고 감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세포수, 알부민, 단백질, 미생물 등 다양한 검사 항목을 포함합니다. 이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으며, 이후의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복수검사의 개요, 검사 목적, 적응증 및 금기증, 검사 준비 및 절차, 검사 장비, 그리고 주의사항 및 부작용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복수검사의 개요
1. 복수, 복강액:
• 정상 상태: 약 50 mL 정도의 복강액이 있으며, 이는 장기를 윤활하고 충격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 복수의 원인: 주로 간경변증(60~85%)이지만, 악성 종양, 결핵성 복막염, 신장 질환, 심장 질환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 간경변증과의 관련: 간경변증이 진행되면 문맥압이 높아져 혈액이 장막순환계로 향하며, 내장혈관이 확장되고 나트륨과 수분이 저류되어 복수가 발생합니다.
2. 검사 대상:
• 복수 천자 후 검사 항목:
• 세포수 및 종류 확인
• 알부민, 단백질 검사
• 미생물 검사 등
3. 검사 목적:
• 다양한 원인 감별: 복수검사는 다양한 원인에 의한 복수를 식별하고 감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됩니다.
4. 간경변증과의 관련성:
• 주된 원인: 간경변증은 복수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흔하게 나타납니다.
• 기전: 간경변증이 진행되면 혈액의 흐름이 변하고, 이로 인해 복강액이 늘어나는 것이 관찰됩니다.
복수검사는 정확한 진단과 치료 계획 수립을 위해 필수적이며, 다양한 원인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환자의 건강 상태를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검사 목적 및 적응증
검사 목적:
• 복수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이를 정확히 판별하고 감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복수검사가 시행됩니다.
검사 적응증:
1. 새로 진단된 복수:
• 2등급 이상의 복부팽만 또는 신체진찰로 확인 가능한 3등급 복수.
2. 심한 복수로 인한 입원:
• 심각한 복수로 인해 입원한 경우.
3. 감염 의심 또는 증상 및 징후:
• 감염이 의심되거나 전신 증상 및 징후가 나타난 경우 (발열, 복통).
4. 임상적 악화 미상의 경우:
• 간성뇌증, 신기능 악화 등 임상적으로 악화되는 경우.
검사 금기증:
1. 출혈성 질환:
• 섬유소용해증, 파종성혈관내응고와 같은 출혈성 질환은 절대적인 금기.
2. 간기능 저하 및 신부전:
• 심한 간기능 저하 또는 신부전으로 출혈 경향이 높은 경우 주의가 필요.
3. 임신 및 팽창된 장관:
• 임신 중인 경우 또는 장관이 심하게 팽창한 경우 상대적인 금기.
검사 준비 및 절차
검사 준비:
• 복수 천자 전에 소변을 보아 방광을 비워야 함.
검사 절차:
1. 복수천자:
• 중력에 의해 복수가 잘 빠져나오도록 눕는 자세 또는 누운 후 상체를 세운 자세 취함.
• 주로 좌하복부를 천자하고, 천자 부위의 피부를 소독한 후 국소 마취 시행.
• 천자침(18~20 게이지 바늘)을 삽입하고 검사에 필요한 복수를 채취.
• 목적에 따라 천자침 제거 또는 배액관 연결.
2. 검체채취:
• 여러 가지 검사를 위해 약 50~100 mL 정도의 검체 채취.
• 검사별로 다른 종류의 채취관 사용.
• 세포수나 종류 산정 시에는 EDTA 항응고제 채혈관 사용.
• 화학검사나 미생물 염색 시에는 항응고제 없는 채혈관 사용.
• 미생물 배양 시에는 혈액배양병 이용.
검사 장비
1. 자동혈구분석기 및 혈구계산기:
• 세포수를 측정하기 위해 광산란과 전기저항을 활용하는 자동혈구분석기 및 미세한 격자가 조각된 체임버에 검체를 넣고 세포수를 세는 혈구계산기 등 두 가지 방법 사용.
• 희석배율 등을 고려하여 전체 복수 내의 세포수를 정확하게 계산.
2. 세포원심분리기(cytocentrifuge):
• 세포수가 적거나 종양세포 등 비정상 세포 의심 시 사용.
• 세포를 원심분리한 후 표본을 제작하고 현미경으로 판독.
3. 자동화학분석기:
• 다양한 생화학 검사를 자동으로 시행.
4. 미생물배양기:
• 세균 및 결핵균을 배양.
주의사항 및 부작용
방광 손상 예방:
• 소변을 보아 방광을 비우고 복수천자를 시행하여 천자침에 의한 방광 손상을 예방합니다.
천자 합병증 주의:
• 기복증(pneumoperitoneum): 복수천자로 인해 복강 내에 공기가 쌓이는 상태를 주의하며 관찰합니다.
• 천자부위 출혈 및 복강내 출혈: 치료 중인 환자에서도 발생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 장천공 및 방광천공: 희귀하지만 발생 가능하므로 이상 증상 확인이 중요합니다.
• 복막염: 복수검사 후에도 복막 염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해당 증상을 주의깊게 모니터링합니다.
• 활력징후 및 복부 강직 확인: 기복증이나 합병증 발생 시, 활력징후 및 복부 강직 등의 이상 증상을 주시하고, 즉시 의료진에게 보고합니다.
• 다량 복수 시 쇼크 예방: 쇼크 발생 가능성이 있는 경우, 알부민 주사로 복수된 체액을 보충하여 쇼크를 예방합니다.
결론
복수 검사는 복수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고 감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중요한 과정입니다. 복수의 가장 흔한 원인인 간경변증을 비롯해 다양한 질환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검사는 천자침을 이용하여 복강액을 채취하며, 현미경 및 다양한 검사 장비를 활용하여 세포수, 알부민, 단백질, 미생물 등을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감염 여부 및 질병의 원인을 정확하게 진단하여 적절한 치료 방향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천자 합병증이나 부작용에 주의하여 신속한 의료진의 확인이 필요합니다.